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기사 필기 공부법
- diy암기펜
- 퇴직자 건강보험료
- 낼나 타이머
- 자소서바이블
- 두정동 가성비
- coolant
- 큐넷
- 프란틀 수
- 답만 외우는 법
- 기사 필기 암기법
- 종합소득세 고향사랑기부제
- 기사시험 접수방법
- 텍스트추출기
- 이득티켓
- 중도퇴사자 종합소득세
- 기사시험 접수
- 면접바이블
- 논문 쉽게 읽는법
- 수력직경
- 영상글자복사
- 천안맛집
- 건강보험료 독촉장
- chilled water
- 두정도서관 맛집
- cooling water
- 영상텍스트복사
- 2024 종합소득세
- 종합소득세 해비타트
- 사천치킨도시락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수력직경 (1)
갓생으로 살고 싶어

기본적으로 열유체역학의 개념은 주로 원형 단면을 가진 덕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당연하게도 실제 현장에서는 단면이 아닌 경우가 많다. 이때 적용되는 것이 수력직경이다. 수력 직경 (水力直徑), "물의 힘을 반영한 지름"이라는 뜻이다. 물론 유체가 물일때만 쓰는 개념은 아니다. 수력 직경의 기호는 D_h라고 나타낸다. * D_h=Hydraulic Diameter, A=Area, P=Wetted Perimeter (Perimeter: 둘레) 유체가 덕트를 가득 채우며 흐르지 않을 때를 주의해야 한다. 유체가 닿는 둘레 길이 P의 개념을 놓칠 수 있다. 이렇게 계산한 수력 직경이 주로 쓰이는 것은 레이놀즈 수다. 교과서에서 배웠던 레이놀즈 수의 정의는 주로 원형 덕트 기준이고, 현장에서는 레이놀즈수에 아..
공부는 갓생이다.
2023. 11. 13. 11:29